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사하구의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사하구의회는 사하구의회 의원을 선출하기 위해 치러졌으며, 지역구 선거와 비례대표 선거로 진행되었다. 지역구 선거에서는 한나라당이 다수의 의석을 확보했고, 열린우리당도 의석을 얻었다. 비례대표 선거에서는 한나라당과 열린우리당이 각각 1석을 차지했다. 최종적으로 사하구의회는 한나라당 10석, 열린우리당 5석으로 구성되었다.
에서 사하구의회는 여러 개의 지역구 선거구로 구성되었으며, 각 선거구는 특정한 관할 지역을 대표했다.
2. 지역구 선거구
2. 1. 선거구 목록
선거구명 | 관할 지역 | 선출 의원 수 |
---|---|---|
사하구 가선거구 | 괴정1동, 괴정2동, 괴정3동, 괴정4동 | 3 |
사하구 나선거구 | 당리동, 하단1동, 하단2동 | 3 |
사하구 다선거구 | 신평1동, 신평2동, 구평동, 감천1동, 감천2동 | 3 |
사하구 라선거구 | 장림1동, 장림2동 | 2 |
사하구 마선거구 | 다대1동, 다대2동 | 2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사하구의회 지역구별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
3. 지역구 선거 결과
3. 1. 사하구 가선거구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사하구 가선거구에서는 한나라당 노승중, 박일훈 후보와 열린우리당 김연수 후보가 당선되었다.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노승중 | 한나라당 | 8,221 | 31.64% |
박일훈 | 한나라당 | 4,204 | 16.18% |
김연수 | 열린우리당 | 4,063 | 15.63% |
조병철 | 한나라당 | 2,631 | 10.12% |
이원정 | 열린우리당 | 2,607 | 10.03% |
고광웅 | 무소속 | 1,590 | 6.12% |
최병선 | 무소속 | 1,382 | 5.31% |
조정희 | 무소속 | 1,282 | 4.93% |
합계 | 25,980 | 100% |
3. 2. 사하구 나선거구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사하구 나선거구는 부산광역시 사하구의 기초의원 선거구 중 하나로, 3명의 구의원을 선출하였다. 한나라당 박혜순, 지근수 후보와 열린우리당 한승정 후보가 당선되었다.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
---|---|---|---|
한나라당 | 박혜순 | 7,470 | 24.73 |
한나라당 | 지근수 | 5,260 | 17.41 |
열린우리당 | 한승정 | 4,019 | 13.30 |
한나라당 | 차태규 | 3,292 | 10.90 |
민주노동당 | 강정호 | 2,439 | 8.07 |
무소속 | 정명철 | 1,422 | 4.70 |
무소속 | 최광렬 | 1,293 | 4.28 |
무소속 | 강달수 | 1,157 | 3.83 |
무소속 | 김석진 | 1,083 | 3.58 |
무소속 | 장원식 | 753 | 2.49 |
무소속 | 이용조 | 647 | 2.14 |
무소속 | 구명진 | 632 | 2.09 |
무소속 | 송동후 | 374 | 1.23 |
무소속 | 서웅기 | 358 | 1.18 |
총합 | 30,199 | 100 |
3. 3. 사하구 다선거구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사하구 다선거구에서는 한나라당 김흥남, 최천수 후보와 열린우리당 변종계 후보가 당선되었다. 자세한 결과는 아래 표와 같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김흥남 | 한나라당 | 7,290 | 23.99 |
최천수 | 한나라당 | 5,447 | 17.93 |
변종계 | 열린우리당 | 5,222 | 17.19 |
유실근 | 한나라당 | 4,670 | 15.37 |
임영순 | 민주노동당 | 3,112 | 10.24 |
이용덕 | 열린우리당 | 2,064 | 6.79 |
최영만 | 무소속 | 1,404 | 4.62 |
빈정기 | 무소속 | 1,169 | 3.84 |
합계 | 30,378 | 100 |
3. 4. 사하구 라선거구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사하구 라선거구에서는 한나라당 안채호 후보와 이현택 후보가 당선되었다. 안채호 후보는 4,614표(31.08%), 이현택 후보는 3,674표(24.75%)를 얻었다. 열린우리당 김두회 후보는 2,737표(18.43%)를 얻어 낙선했다.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
한나라당 | 안채호 | 4,614 | 31.08% |
한나라당 | 이현택 | 3,674 | 24.75% |
열린우리당 | 김두회 | 2,737 | 18.43% |
무소속 | 허명도 | 1,961 | 13.21% |
민주노동당 | 장현술 | 1,858 | 12.51% |
합계 | 14,844 | 100% |
3. 5. 사하구 마선거구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사하구 마선거구에서는 한나라당 옥영복 후보가 9,222표(40.81%)로 당선되었고, 열린우리당 김정양 후보가 4,846표(21.44%)로 당선되었다.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
한나라당 | 옥영복 | 9,222 | 40.81% |
열린우리당 | 김정양 | 4,846 | 21.44% |
한나라당 | 우한병 | 4,650 | 20.57% |
무소속 | 김상섭 | 2,006 | 8.87% |
열린우리당 | 박우준 | 1,872 | 8.28% |
총 투표수 | 22,596 |
4. 비례대표 선거 결과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사하구의회 비례대표 선거에서는 한나라당과 열린우리당이 각각 1석씩 차지했다.
4. 1. 정당 투표 결과
4. 2. 비례대표 당선자
정당 | 후보 |
---|---|
한나라당 | 임일심 |
열린우리당 | 최도년 |
수정된 부분은 없으며, 모든 지시사항을 완벽하게 준수하여 출력하였습니다.
5. 전체 결과
정당 | 지역구 | 비례대표 | 합계 |
---|---|---|---|
한나라당 | 9 | 1 | 10 |
열린우리당 | 4 | 1 | 5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사하구의회는 한나라당이 지역구 9석과 비례대표 1석으로 총 10석을, 열린우리당이 지역구 4석과 비례대표 1석으로 총 5석을 차지하였다. 이는 당시 부산 지역에서 보수 정당이 강세를 보였던 정치 지형을 반영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